요즘 주식시장에서 떠오르는 ESG 투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ESG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한국말로 쉽게 바꾸면 이른바 '착한기업'을 말합니다.
어떻게 착한기업이냐면,
ESG 구성요소인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고 환경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기업입니다.
환경
- 기업이 친환경적인 생산, 판매, 경영을 한다면 사회 전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봅니다.
- 기후변화, 온실가스와 탄소 배출, 자원 고갈, 사업장 환경오염물질 저감, 친환경 제품 개발
사회
-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 이윤획득이 가능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은 단순한 기부활동이 아니라 기업이 활동하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권, 노동기준, 산업안전, 하도급 거래, 제품/서비스의 안전성, 공정경쟁, 고객 만족
지배구조
- 지배구조가 탄탄하여 흔들림 없이 운영된다면 계속해서 착한기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주주 권리, 이사회 구성과 활동, 감사제도, 배당
ESG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차원을 넘어 하나의 중요한 평가 및 투자 기준으로 고려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공헌 활동과 구별됩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판단하는 틀입니다.
지속 가능한 투자, 사회적 책임 투자, 윤리적 투자, 임팩트 투자와 같은 다른 이름들도 모두 ESG 투자의 일부입니다.
ESG의 시작
2019 유엔 기후 행동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 이슈가 나온 이후로
기업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이 변했습니다.
기존의 가치관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만을 기대하였다면
변화된 가치관은 주요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 기업이 책임경영 활동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우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 기업이 환경/사회적 책임을 이행할수록, 이해관계자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며 위험 상황에 노출되는 건수 또한 감소하였으며, 장기적으로 기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결과 또한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장기적 시각에서 ESG를 실행해야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본시장에서의 ESG 활성화
과거에는 투자기관 및 자산운용사 등의 책임이 투자 대상의 재무 성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재무 성과는 물론이고 지배구조, 인권, 환경, 사회 등 비재무적 성과를 고려하여 그 관리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즉, 예전에는 돈만 잘 버는 기업에 투자했다면
지금은 돈도 잘벌고 건실한 구조에 착한 일도 하는 기업에 투자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ESG 투자법
그 시작은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는 자산 및 업종을 배제하여 투자하는 것이었습니다.
현재에는 정보의 접근성이 확대되어 전세계 어디에서 무슨 일이 발생하든 즉시 알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그 데이터를 ESG 요소를 투자 프로세스에 반영하여 투자하고 있습니다.
ESG 기준이 낮은 기업에 투자할 경우
ESG는 결국 투자자의 리스크 관리입니다.
ESG가 낮은 기업에 투자했다가 노동자 파업, 소송, 부정적 여론과 같은 다양한 리스크로 인해 향후 수익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사비 제품명 표시 위반, 겨자무가 와사비로 (0) | 2021.08.18 |
---|---|
8월 14일은 택배 쉬는 날 (0) | 2021.08.13 |
백신 10부제 사전예약하기 (0) | 2021.08.09 |
보험 가입 내역 조회 방법 (통합조회사이트와 어플) (0) | 2021.08.08 |
무자본 부업 방법 5가지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