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주식 시장은 크게 3개가 있습니다.
대기업과 대기업에 준하는 기업들이 포진한 KOSPI
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포진한 기술기업 중심의 KOSDAQ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키우기 위한 KONEX
이 3가지 주식 증권 거래시장에 대해 알아봅니다.
코스피 (KOSPI)
한국의 제 1증권시장으로,
대부분 대기업 또는 대기업에 준하는 중견기업이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의 시가 총액이 크고
소수의 매집에 의해 주가 변동이 크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즉, 급락이나 급등이 드물다
장기투자를 하려는 사람들은 보통 코스피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한다
현재의 코스피 상위 10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KOSPI 상장 요건
- 자기자본 300억 이상
- 3년 이상 계속영업
- 매출액은 최근 1년간 1,000억 이상 또는 최근 3년간 평균 700억 이상
- 이익은 아래 중 하나를 만족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에 주식 투자를 하려면 증권계좌를 개설하기만 하면 됩니다.
코스닥 (KOSDAQ)
한국의 제 2증권시장으로,
대부분 중견기업 또는 중소기업이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마킹해서 만든 거래소로
유망한 기술 중심의 기업을 모아두는 거래소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나스닥과는 다르게 KOSPI의 하위 거래소라는 느낌이 듭니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의 시가 총액이 작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수의 매집에 의해 주가 변동이 큽니다.
때문에 작전 세력이나 기사 하나에 급락이나 급등이 빈번합니다.
한국의 제 1증권시장으로,
대부분 대기업 또는 대기업에 준하는 중견기업이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다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의 시가 총액이 크고
소수의 매집에 의해 주가 변동이 크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이다
즉, 급락이나 급등이 드물다
단기투자 또는 성장주 투자를 하려는 경우 코스닥 투자를 많이 합니다.
만약 코스닥에 있는 종목을 단기투자/성장주 투자를 하려는 경우에는
종목을 잘 찾아야 하고 공부를 많이 해야 합니다.
KOSDAQ 상장 요건 (일반기업)
- 자기자본 30억 이상 이거나 시가총액 90억 이상
- 3년 이상 계속영업
- 아래 중 하나를 만족
KOSDAQ 상장 요건 (벤처기업)
- 자기자본 15억 이상 이거나 시가총액 90억 이상
- 아래 중 하나를 만족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에 주식 투자를 하려면 증권계좌를 개설하기만 하면 됩니다.
코넥스 (KONEX)
스타트업 또는 벤처기업의 자금융통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중소기업 전용의 거래소입니다.
상장조건이 매출 10억으로 쉽기 때문에 재무구조도 약한 기업들이 많습니다.
코넥스 상장 기업은 6개월에 한번씩 기업설명회(IR)을 해야 합니다.
만약 코넥스 시장에서 투자를 하려 한다면 기본예탁금 계좌에 3,000만원 이상이 입금되어 있어야 합니다.
KONEX 상장 요건 (일반기업)
- 중소기업 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 아래 중 하나를 만족
KONEX 상장 요건 (벤처기업)
- 중소기업 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 아래 중 하나를 만족
KONEX 제한사항
- 기업설명회는 6개월에 한번씩 한다
- 회계감사 내용에 감사의견이 적정해야 합니다.
- 액면주식의 금액은 100원/200원/500원/1,000원/2,500원/5,000원 중에 선택
'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자본 부업 방법 5가지 (0) | 2021.08.07 |
---|---|
보험 가입시 확인할 사항 (0) | 2021.08.06 |
싱크대 하부장 내부 청소 (베이킹소다, 큐브클리너) (0) | 2021.08.04 |
영유아 건강검진 (총 11회) 신청하기 (0) | 2021.08.03 |
싱크대 배수구 청소방법 (냄새제거) (0) | 2021.08.02 |